설날이 아침이 되면 저같은 경우 차례상을 어떻게 놓을지 늘 헷갈려서 검색해보곤 합니다. 이번에 저도 정리할 겸 설 차례상 차리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차례상의 기본 구성
차례상은 일반적으로 5열로 구성되며, 각 열에는 특정한 종류의 음식이 배치됩니다. 제주(祭主)가 상을 바라볼 때, 신위(神位)는 북쪽에 위치하고 제주가 남쪽에 위치합니다.
차례상 배치
- 1열 (신위 앞쪽): 밥, 국, 술잔 등
- 2열: 구이(적), 전 등 주요리
- 3열: 탕(국) 등
- 4열: 나물, 김치, 포 등 밑반찬류
- 5열 (가장 바깥쪽): 과일과 과자 등 후식류
각 열에 배치되는 음식 종류
1열
- 밥: 흰 쌀밥을 주발에 소복하게 담음
- 국: 쇠고기와 무를 넣어 맑게 끓인 국 사용
- 술잔: 제주가 사용할 술잔 배치
2열
- 적(炙): 쇠고기, 닭고기, 생선 등을 양념하여 꼬치에 꿰어 구운 음식
- 전: 두부나 생선을 얇게 썰어 밀가루와 계란을 입혀 지진 전
3열
- 탕(湯): 육탕(쇠고기), 어탕(생선), 봉탕(닭고기) 등 세 가지 탕 준비
4열
- 나물: 도라지, 고사리, 시금치 등 삼색 나물 준비
- 김치: 고춧가루를 사용하지 않은 백김치 사용
- 포(脯): 북어포나 오징어포 등
5열
- 과일: 대추, 밤, 배, 감 등 배치
- 과자: 유과, 다식, 정과 등 준비
차례 지내는 순서
- 강신(降神): 제주가 향을 피우고,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세 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함
- 참신(參神): 참석자 모두가 두 번 절함
- 초헌(初獻): 제주가 첫 번째 잔을 올리고 두 번 절함
- 독축(讀祝): 제주가 축문을 읽고 모두 두 번 절함
- 아헌(亞獻): 두 번째로 술을 올리며, 제주의 부인이나 가까운 친족이 진행
- 종헌(終獻): 세 번째로 술을 올리며, 제주의 자식 등이 진행
- 유식(侑食): 제주가 제상 앞에 꿇어앉고, 집사는 남은 술잔에 첨잔. 제주의 부인이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음. 제주가 두 번, 부인이 네 번 절함
- 합문(闔門): 문 밖에 나가 잠시 기다림
- 헌다(獻茶):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림
- 사신(辭神): 숭늉의 수저를 거두고 밥그릇을 닫음. 참석자 모두 두 번 절함. 지방과 축문을 불사름
- 철상(撤床): 제사 음식을 물림
- 음복(飮福): 제수를 나누어 먹음
주의사항
- 양념 사용: 마늘, 고춧가루, 파 등의 양념은 사용하지 않음. 이는 예로부터 귀신을 쫓는 재료로 여겨져 제사 음식에 사용하지 않음
- 과일 배치: 과일은 '조율이시(棗栗梨柿)' 순서로 대추, 밤, 배, 감을 배치. 이는 각각 임금, 삼정승, 육조판서, 팔도를 상징
전통적인 차례상 차림은 지역과 가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가족의 전통과 지역의 관습을 존중하여 준비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. 정성과 예의를 담아 차례상을 차림으로써 조상님에 대한 공경의 마음을 표현하시길 바랍니다.
Social Plugin